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쿠키 블랙 코미디 리뷰

콘크리트 유토피아 장르ㅣ재난, 드라마 감독ㅣ엄태화 개봉일ㅣ2023년 8월 9일 러닝타임ㅣ130분 제작비ㅣ189억원 손익 분기점ㅣ380만 월드 박스오피스ㅣ$27,609,436 한국 총 관객ㅣ3,849,244명상 성능 등급: 15세 이상에게 적합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으로 폐허가 된 서울 유일의 황궁 아파트에 생존자들이 모이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김순능 작가의 웹툰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2부, 그리고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이 많은 영화입니다.

제59회 대종상영화제에서는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조연상, 미술상, 음향효과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했고, 제44회 청룡영화상에서는 감독상, 남우주연상, 그리고 정정원 인기스타상. 평가

IMDb RATING 평점은 10점 만점에 6.6점, TOMATOMETER에서는 Rottentomatoes 평점 100%, AUDIENCE SCORE 77%, 네이버 시청률 8.17을 기록했습니다.

제44회 청룡영화제에서 감독상, 남우주연상 등 총 3개 부문을 수상했다.

서울에 큰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지진으로 모든 것이 파괴된 가운데, 그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황궁 아파트뿐이다.

정신없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생존자들은 궁궐 아파트로 몰려든다.

그리고 주민과 외부인 사이에 칼부림이 발생합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1207호에 거주하며 여성회장인 금애(김선영)는 주민총회를 개최하게 된다.

아파트 대표 선출을 위한 긴급회의에서 칼부림·화재 사건을 해결한 902호 김영탁(이병헌 분)이 만장일치로 대표로 당선된다.

선거가 끝난 뒤 주민들은 아파트를 지키기 위해 재빠르게 외부인을 몰아내려고 한다.

이런 식으로 외부인들은 단지 밖으로 보내진다.

주민들은 추위와 배고픔에 대처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고 느낍니다.

그들은 외부로부터 황궁 아파트를 보호하고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정찰대를 결성한다.

황궁아파트 주민들은 602호 김민성(박서준 분)이 이끄는 정찰대가 정찰활동을 펼치자 크게 안도한다.

그러나 그 안도감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식량 부족으로 인근 슈퍼마켓 주인과 스카우트들이 대치해 부상과 사망이 발생한다.

한편, 602호 김민성의 아내 명화(박보영)는 외부인을 돌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주민들 사이에 외부인을 숨겨준 809번 도균(김도윤)의 집을 찾아가 음식을 나눠 먹게 된다.

영탁이 이를 목격한다.

경비를 서던 보초가 어둠 속에서 한 사람을 발견했고, 알고 보니 903번 혜원(박지후)이었다.

바람피는 엄마를 찾으러 나갔지만 지진 이후 황궁 아파트로 집으로 돌아왔다.

902호 김영탁은 옆집 혜원을 경계한다.

사실 김영탁은 주민이 아니었다.

그는 902호실의 실제 거주자인 김영탁을 찾아 부동산 사기 피해를 당한 뒤 돈을 돌려받기 위해 찾아왔다.

두 사람이 싸우던 중 진짜 영탁이 죽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 순간 큰 지진이 일어나 진짜 영탁인 척하고 있던 것.

스카우트단과 함께 나갔던 부녀회장의 아들이 숨진 채 돌아온다.

이로 인해 영탁에게 난폭해지고 욕설을 퍼붓고, 영탁은 혜원에게 돌진해 영탁을 절벽으로 떨어뜨린다.

이러한 대치의 순간 외부인들이 단지 내로 침입하고 폭력사태가 발생한다.

민성은 아내 명화와 함께 도망치던 중 부상을 입는다.

두 사람은 간신히 탈출에 성공합니다.

한편 영탁은 외부인과의 싸움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됐다.

그는 902호실에 들어가 가족사진 앞에서 사망했다.

무너진 교회에서 민성은 잠이 들고, 명화에게 고맙고 미안하다고 말한다.

명화는 아침에 일어나 눈을 뜨지 않는 민성을 보며 눈물을 흘린다.

새로운 피난처로 이사한 명화는 삶을 포기한 듯 앉아 있고, 영화는 쿠키 영상 없이 끝난다.

분석

첫 번째 해석

영화 말미에 90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집의 내부 모습은 수직적인 황궁 아파트와는 달리 수평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 같아요. 두 번째 해석

황궁아파트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일에 따라 분배되는 대표자 1인의 사회주의식 제도를 따른다.

사회주의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되는 체제인데, 마지막에 등장하는 마을 역시 이상적인 사회주의 체제를 보여준다.

참고로 2018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는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이상적인 사회 건설을 꿈꾸며 유고슬라비아가 콘크리트로 건설한 건축물을 소개하는 전시를 열었다.

전시 제목은 ‘구체적 유토피아를 향하여: 유고슬라비아 건축, 1948-1980’이었다.

> 그랬어요.

검토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재난 블록버스터를 상상했다면 아쉬움이 많이 남는 영화이다.

땅이 갈라지는 장면은 불과 몇 초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이야기는 황궁 아파트에서 일어난다.

재난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보다는 재난 이후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도 기존 재난영화와는 다르다.

이 과정에서 영화는 한국 사회에서 아파트가 갖는 의미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자연스럽게 담아낸다.

그런데 여기서 끝나서 너무 아쉽네요. ‘그래서 어떻게?’라는 답이 없기 때문이죠. 상황만 나열하고 끝나는 게 너무 아쉬웠어요.

지진이라는 특별한 상황이 있기는 하지만, 영화 속 장면은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지진 당시 상태가 양호했던 황궁 아파트는 지진 전에는 열악한 취급을 받았습니다.

여기에 전세와 자기보증금 사이에서 논쟁을 벌이는 사람들의 모습, 전세 사기를 당한 이들의 고통은 모두 지극히 현실적이다.

대사마저 너무 일상적이어서 씁쓸하게 웃게 만든다.

영화 속에서 인간은 절대악이나 선이 아닌 이타주의와 이기주의의 세계로 등장한다.

그래서 영화를 보다가 ‘그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답답하고 무겁더라도 공감할 여지는 있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냉소적인 시각으로 사회를 반영하는 블랙코미디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한 줄 리뷰

나는 이병헌의 연기를 좋아했다.

★★★★★ N 꼭 보아야 함, 근처 사람들이 추천함 ★★★★ 꼭 보아야 함★★★ 재미있고 볼만한 가치가 있음, ok★★ 킬링타임용으로 ★☆ 귀찮게 보지 마세요☆ 보면 그만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