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수업: 서술문 감정수사(조동범) 서평 4) 제3자를 소개한다는 것은 책임을 진다는 뜻!

‘유체말하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마치 다른 사람의 이야기인 것처럼, 마치 영혼이 탈출한 것처럼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자기 이야기를 마치 다른 사람 이야기인 것처럼 말하는 것은 무책임해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슬픔을 걱정한다.

객관적으로 이야기한다고 하네요. 슬픔을 객관화할 수 있는 ‘객관적 상관관계’를 제시하면 감정 조절이 쉽다고 합니다.

슬픔을 직접적으로 이야기하기보다는 고양이, 기차, 간판 등 슬픔을 전달할 수 있는 객관적인 대상을 매개로 삼으세요. 오히려 슬픔과 낯선 관계에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낯설게 하는 것’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객관적 상관관계’는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태도가 아니라, 자신의 슬픔을 과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려는 책임감이다.

그런 것 같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힘이 부럽습니다.

책은 어렵지만 그 안에 반짝이는 것들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madhatterzone, 출처: Unsplash

우리는 검토 중입니다 슬로우북(Slow Book)에서 출판. 강의작성노동자로 소개된 조동범님의 글입니다.

이 게시물은 요약되어 있습니다.

. 감정 – 시적 세계와 감정

시는 언어로 이루어진 감정의 산물이다.

감정은 어떤 식으로든 시에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시는 감정을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문제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폴 세잔은 “감정에서 시작되지 않는 예술 작품은 예술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시를 비롯한 모든 예술은 형식과 방법에 차이가 있지만 감정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은 똑같습니다.

이 경우 감정은 ‘예술적 감정’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시에 담긴 감정은 언제나 의도적으로 조작된 ‘예술적 감정’이어야 한다.

Frost는 “시는 감정이 생각을 찾고 생각이 단어를 찾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엘리엇은 “시는 감정의 표출이 아니라 감정으로부터의 탈출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시에서 감정을 제거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감정을 통제해야 한다는 뜻이다.

1 시적 감성과 언어

감정과 시적 거리는 시인의 내면적 감정이나 외부적 대상을 상징한다.

이때 시인은 어떠한 경우에도 시적 대상과 거리를 두고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

감상적인 인식과 신구식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술과 감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려야 합니다.

예술 작품을 이해하는 능력은 미적 인식을 통해 키워져야 합니다.

감정과 객관적 상관관계 엘리엇은 과도한 감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시에서 ‘객관적 상관관계’가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울러 그는 예술적 감성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객관적 상관관계’를 포착할 것을 권한다.

엘리엇이 ‘객관상관관계’를 강조한 이유는 ‘미적의식’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슬픔을 객관화할 수 있는 ‘객관적 상관관계’를 제시하면 감정 조절이 쉽다.

슬픔을 직접적으로 말하기보다는 고양이, 기차, 간판 등 슬픔을 전달할 수 있는 객관적인 대상을 통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슬픔과 낯선 관계에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낯설게 만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의 정서는 어느 정도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객관적인 감정을 감정의 결핍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시는 감정을 드러내는 장르이므로 시적 감성이 언제나 중요합니다.

유일한 문제는 주관적인 감정의 과도한 상태입니다.

직접적인 화법과 시적인 시에서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태도로 사용되는 ‘배고픔’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이고 피상적인 의미로만 ‘배고픔’으로 읽어서는 안 된다.

‘부족함’ 등 의미가 부여된 사고의 영역을 포함해야 합니다.

주제에 대한 집착과 현학적이고 철학적인 언어 철학적이고 교훈적인 태도가 우선시되면 현학적인 언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는 철학이나 교훈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현학적 자세를 취해서는 안 된다.

현학적인 언어는 깊은 철학적 가르침보다는 얕은 차원의 사고만을 보여줄 뿐이며, 이념적 언어와 마찬가지로 시를 모호함의 오류에 빠지게 만든다.

3 시와 화자 화자 사이의 시적 거리 시적 대상을 바라보는 것은 시적 화자이고, 시인은 시적 화자 밖에서 시적 화자를 응시한다.

흔히 시인과 시적 화자는 동일시되지만, 시인과 시적 화자는 별도로 이해해야 한다.

복면화자 많은 사람들은 작품 속의 ‘나’를 시인 자신과 동일시한다.

작품 속 ‘나’가 시인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시적 발성은 시인이 직접 등장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는 시인의 생각이나 경험을 직접적으로 말하지만, 소설처럼 상상의 화자와 허구의 이야기를 통해 전달된다.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내용 진술 감정수사 저자 조동범 출판 슬로북 출간 2023.09.06. #슬로북 #시인계급묘사 사진감정수사 #조동범 #서평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았지만 제 나름대로 평론하고 있습니다^^